나만 모르고 있는 청년 정책! 알아두면 이득보는 각종 지원금 및 정책에 대해 알아봅시다!
취업 지원
국민내일배움카드
연령: 만 0세~75세
지원 대상:
실업자, 근로자, 특수형태근로종사자, 자영업자, 소득의 경우 연매출 1억 5천만원의 이상의 자영업자, 월 임금 300만원 이상의 대기업근로자(45세 미만)의 경우는 참여 제한 대상
내용:
1인당 300~500만원의 훈련비용 지원 (훈련비의 45%~85% 지원)
취업성공패키지 1 참여자 등 저소득 계층에게는 500만원 지원(훈련비의 100% 또는 80% 지원)
금융 지원
청년희망키움통장
신청 조건:
만 15세~39세 이하
매월 근로소득 있어야 함
소득 기준 중위소득 30% 이하여야 함
내용:
근로소득공제금(월 10만원) + 근로소득 장려금 = 3년 후 최대 2,369만원
신청방법:
인근 주민센터 방문
교통비 지원
청소년 드림, 힘내라 청춘
신청 조건:
청소년 드림: 만 24세 이하
힘내라 청춘: 만 25세~33세
KTX 최대 40% 할인
1인 1회 1매, 1일 2회 , 1개월 8회 이용 가능
이용방법: 코레일 앱 또는 레츠코레일 홈페이지
전월세 지원
주거안정월세대출
대출한도: 매월 최대 40만원씩 2년간 총 960만원 한도
대출기간 및 상환방법: 2년 만기일시상환(최대 4회 연장가능, 최장 10년)
참조: 주택도시기금포털 nhuf.molit.go.kr
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
대출대상:
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, 순자산가액 2.92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(예비세대주 포함)
만 19세 이상~만 34세 이하의 세대주
대출금리: 연 1.5%~2.1%
대출한도: 최대 7천만원 이내(임차보증금의 80% 이내)
대출기간: 최초 2년(4회 연장가능, 최장 10년)
참조: 주택도시기금포털
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
대출대상:
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(외벌이 3천5백만원 이하), 순자산가액 2.92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
중소·중견기업 재직자 또는 중소기업진흥공단,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지원을 받고 있는자
만 19세 이상~ 만 34세 이하 청년(병역의무를 이행한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자격기간을 연장하되 최대 만 39세까지 연장)
대출금리: 연 1.2%
대출한도: 최대 1억원 이내
대출기간: 최초 2년(4회 연장가능, 최장 10년)
참조: 주택도시기금포털
직장인 지원
청년내일채움공제
신청 조건:
만 15세 이상 34세 이하(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제한 연령은 연동하여 적용하되 최고 만 39세로 한정)
청년 본인이 2년간 300만원(매월 12만 5천원)을 적립하면 정부(취업지원금 600만원)와 기업(300만원, 정부지원)이 공동적립
→ 2년 후 만기공제금 1,200만원+α
'생활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신 접종 후) 아세트아미노펜 vs 이부프로펜 뭘 복용해야할까 (0) | 2021.10.07 |
---|---|
맛있는 '편의점 막걸리' 7종 추천 (0) | 2021.10.06 |
냉찜질 vs 온찜질? 아직 헷갈리신다면! (0) | 2021.10.01 |
꼭 마셔봐야 할 편의점 수입 맥주 7종 추천 (2) | 2021.10.01 |
편의점 와인 추천 9종 (+가격 및 정보) (0) | 2021.09.26 |